본문 바로가기
동양고전-다시보기/논어-이야기

논어 제1편 학이學而(책리뷰)

by HISTATE_죠니 2022. 4. 3.
반응형

논어 제1편 학이學而(책리뷰)

논어-제1편-학이
논어-제1편-학이

이 글은 홍익출판사의 《논어, 김형찬 옮김》을 인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들어가며,

저는 철학도도 아닐뿐더러 배운 것도 별로 없는 사람입니다. 이 리뷰는 첫째로 개인의 기록을 위해 쓰인 것이며, 내용은 전적으로 관련 서적 등을 읽으며 느낀 주관적인 생각임을 먼저 밝힙니다. 혹시 읽으시고 불편하게 느껴지시는 부분이 있더라도 너그러이 봐주시길 바라며, 모자란 부분이 있다면 지도와 편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또한 원문은 아주 짧은 구절들로 이루어져 있어 상당히 다의적 해석이 가능한 만큼, 홍익출판사의 [논어(김형찬 옮김)] 번역본을 중심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학이(學而) 편은 학문과 예를 대하는 자세와 배움을 구하고 실천하는 자세를 통해 진정한 예를 이루어 가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논어-제1편-1장
논어-제1편-1장

1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은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않은가?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는다면 또한 군자답지 않은가?”

학이편의 가장 유명한 구절이자 논어를 통틀어서도 가장 유명한 구절, 學而時習之, 不亦說呼이 나오는 장이다. 짧은 구절에 담긴 묵직한 울림.

다른 부분은 문자 그대로 해석해도 큰 문제가 없지만 學而時習之, 不亦說呼 이 구절은 조금 뜯어볼 필요가 있다. 배우고 學 때때로 익힌다 習 라고 할 때의 習 자는 단순하게 익힌다는 의미로 해석하기엔 뭔가 조금 깊은 뜻이 있다. 익힌다는 글자의 習 자를 뜯어보면 어린 새가 오랜 세월(日), 날갯짓(羽)을 반복한다는 의미를 어원으로 가지므로, 習 자를 단순히 ‘익힌다’라고만 해석하면 조금은 모자란 것 같고 ‘배운 것을 실천하여 체득한다’의 의미로 받아들여야 더 적합할 것 같다.

여기서 주희의 『주자어류』 권 13에 나오는 구절을 인용해 보면,


學之之博, 未若知之之要, 知之之要, 未若行之之實.
배워서 해박한 것은 깨달은 바의 요체만 못하고, 깨달은 바의 요체는 행하는 것만 못하다.

나는 이 구절에서 심금을 울리는 무언가가 있었는데 어떤가?

논어-제1편-12장
논어-제1편-12장

12장 유자가 말하였다. “예(禮)의 기능 중에는 화합이 중요하다. ….중략… “화합을 이루는 것이 좋은 줄 알고 화합을 이루되 예로써 절제하지 않는다면 또한 세상에서 통하지 못하는 것이다.

우리는 예(禮)라고 하면 ‘절제’ 즉, 딱! 선을 긋는 의미로 오해하고 있는데, 이 구절을 보라.

예에 관해서라면 그 뿌리에 가까운 인물인 공자조차도 예를 언급하면서 ‘화합’의 기능을 이렇게나 강조한다. 여기서 화합이란 좋은 게 좋은 거라는 무원칙의 화합이 아니라 예라는 질서 속에서 이루어지는 화합을 말한다.

그에 반해 우리는 어떠 한가 어우러질수록 무례해지기 십상이고, 깍듯해질수록 나누어지기 십상이다.

예의 바르다며 겉으로만 깍듯하고 예를 핑계로 위 아랫사람들이 선 긋기를 하고 있지는 않은가? 필요한 사람에게만 예를 지키고 만만한 상대에게는 무례하게 구는 무질서를 빚고 있지는 않은가?

논어-제1편-13장
논어-제1편-13장

13장 유자가 말하였다. “약속한 것이 도의에 가깝다면 그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함이 예에 가깝다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 의탁하여도 그 친한 관계를 잃지 않을 수 있다면 또한 지도자가 될 수 있다.”

다시 경종을 울리는 구절, 특히 의탁하여도 그 친한 관계를….의 원문은 困不失其親亦可宗也인데, 困 은 갇힌 형국으로 곧 곤란함에 처해있는 상태로 봐도 될 것이다. 즉 “곤란함에 있어서도 그 친함을 잃지 않는다면 宗 지도자가 될 수 있다.”로 보충 설명할 수도 있겠다.

이외에도 더 소개하고 싶은 장들이 있지만 시작부터 너무 장황해질까 두려워 제1편 학이(學而)의 리뷰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꼭 책을 사지 않더라도 이런 고전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각 편들의 장에 대한 원문과 번역본을 많이 찾아 볼 수 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 찾아보시고 음미해 보시면 살아 가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